인대는 뼈와 뼈 사이에 움직임을 유지하고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주며, 목 부위 경추에서 꼬리뼈 근처 척추까지 척추 전체를 위, 아래까지 정렬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척추체의 뒤쪽과 척추관 앞쪽에서 지지하는 후종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는 질환입니다. 골화된 인대는 점차 진행되어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경추후종인대골화증 초기에는 목이 뻣뻣해지고 잘 돌아가지 않거나, 양쪽어깨의 통증과 팔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사지 부전마비로 마치 중풍과 비슷한 증상으로 손이 어둔해지고, 손놀림이 느려진다든지, 단추 채우는 것이 힘들고 걸음걸이가 뛰뚱거리고 잘 넘어지는 보행장해까지 유발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경우 골변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X-ray 검사상에서 발견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밀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산화 단층촬영(CT), 자기공명촬영(MRI)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검사는 CT검사입니다. CT검사를 통해 골화된 종괴의 모양과 크기, 척추관 협착과 척수 압박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척수의 신경변성 유무와 척수의 압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MRI 검사를 진행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안정을 취하고 운동을 제한하며,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 투여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그 외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열 치료,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 등을 병행합니다. 후종인대골화증 조기에 발견하면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질환이 상당 부분 진행되어 발견되어, 어느 정도 척수신경의 압박이 현저하고 척수병증의 증상이 생겨 있으므로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가 더 많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며 조기에 발견되었더라도 예방 차원에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다만 무증상이며 척수의 압박 정도가 심하지 않고, 활동이 많지 않은 고령의 환자들에게는 비수술적 치료가 더욱 적절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척추관 침범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보행장애, 손의 섬세한 운동 장애 등과 같은 척수병증이 보이는 환자에게는 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방 접근법으로 척추체 제거술을 시행한 후 골화 부위를 직접 모두 적출하는 것이 병변을 제거하는 가장 이상적인 수술 방법입니다. 하지만, 인대의 골화 현상이 3개 척추체 이상의 범위에서 발생했거나 후종 인대 골화증이 심하여 수술 술기중 척수를 손상시킬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후궁확장성형술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후방 감압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